Cloud 기초
-
AWS VPC 기초 II (AWS VPC와 서브넷 생성)Cloud 기초/AWS 기초 2023. 9. 16. 16:02
(이 글은 https://kh-archive.tistory.com/41를 미리 읽었거나 네트워크에 대한 기초 지식을 전제로 설명합니다.) 이제 실제 AWS VPC와 서브넷을 만들어보겠습니다. AWS에 로그인을 하고 검색창에 VPC라고 검색하여 들어가면 다음과 같이 VPC 메인 화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VPC는 Region에 따라 독립된 VPC로 분류되기 때문에 우선 VPC를 생성할 리전을 선택해줍니다. 리전 선택은 오른쪽 상단에 내 계정 이름 옆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노란색 버튼의 VPC 생성을 눌러서 VPC 생성화면으로 넘어가봅시다. 그러면 이런 화면이 나오는데요. 여기서 생성할 리소스 선택을 VPC 등이 아니라 VPC만을 선택해줍니다. (VPC 등으로 선택하면 서브넷 등을 쉽게 생성할 ..
-
AWS VPC 기초 I (네트워크의 기본지식 알기)Cloud 기초/AWS 기초 2023. 9. 16. 10:44
이번엔 AWS VPC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AWS VPC는 Virtual Private Cloud의 약자로 AWS에서 제공하는 가상 네트워크 서비스입니다. 가상 컴퓨터가 있으니까 가상 컴퓨터의 네트워크도 설정이 필요하겠죠? 그래서 등장한 것이 가상 네트워크입니다. 우선, 가상 네트워크 설정에 앞서 기본적인 네트워크 지식을 알고 넘어갈까요? 가상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서브넷을 설정하면 항상 제가 힘들었던 부분이 IP를 설정하는 부분이었습니다. 보통은 저는 어떤 웹사이트를 만들고 도메인을 등록하면 자동으로 IP라는 주소가 할당되어서 사실 별로 IP에 대해서 깊이 있게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거 그냥 자동으로 만들어지는거 아니야?) 네트워크이 주소가 무엇인지 전혀 지식이 없는 분들도 있을 수 있으니까 간단하게..
-
AWS IAM 기초 (User, Role, Policy 생성)Cloud 기초/AWS 기초 2023. 9. 12. 23:55
AWS IAM은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의 약자로 AWS 내의 자격 인증과 리소스에 대한 접근 제어를 통한 보안관리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IAM의 로고를 보면 뭐 같나요? 열쇠모양처럼 생겼죠? 맞습니다. IAM은 일종의 열쇠라고 보시면 됩니다. 요즘에는 열쇠 키를 잘 안 쓰니까 일종의 Face인증이라고 생각하면 편할 것 같습니다. 그러면 IAM의 특징을 알아볼까요? 1. Create and manage AWS users and groups 2. Manage permissions 3. Manage roles for entities 4. Federate users 5. Add conditions for fine-tuned access control 6. Audit servi..
-
Azure Cloud 소개Cloud 기초/Azure 기초 2023. 9. 10. 21:58
(AWS나 클라우드의 사전 지식이 있으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글입니다. AWS에 대한 정보는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Azure는 Microsoft에서 제공하는 Cloud 서비스입니다. 최초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했던 AWS에 밀려 시장을 선점하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기존 MS에서 제공하던 서비스들을 앞세워 2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저는 처음에 구글의 GCP가 2위가 아닌 것이 의외였습니다. 마소라니!!) MS는 자체 OS인 Window를 비롯해서 Powershell 등 자체적인 툴들을 많이 제공합니다. 그에따라 MS 세계관(?)에 맞춰 클라우드 서비스도 MS만의 독특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면 그 특징들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1. Hybrid Capability 2. Int..
-
AWS RDS 기초 (RDS MariaDB 생성)Cloud 기초/AWS 기초 2023. 9. 10. 01:51
RDS는 Relational Database Service의 약자로 AWS에서 제공하는 Fully Managed DB Service입니다. 한 마디로 클릭 몇 번으로 만들기만 하면 AWS에서 알아서 다 해주는 관계형 DB 서비스라는 의미입니다. Chat GPT에게 RDS가 뭔지 물어봤습니다. 그랬더니 한 10가지 키워드로 정리해주었습니다. (그저 갓피티) 그럼 10가지 키워드에 맞춰서 한번 볼까요? 1. Managed Databases 2. High Availability 3. Scalability 4. Security 5. Automated Backups and Snapshots 6. Monitoring and Alerts 7. Read Replicas 8. Data Migration 9. Global..
-
AWS EC2 기초 (생성 및 접속까지)Cloud 기초/AWS 기초 2023. 9. 6. 21:40
Elastic Compute Cloud (줄여서 EC2)는 AWS에서 제공하는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서비스입니다. 처음 AWS소개 에서 클라우드라는 건 포켓몬 게임에 나오는 가짜 컴퓨터처럼 가상의 컴퓨터를 만들어서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설명드린 적이 있었죠. 가상의 컴퓨터를 다른 이름으로는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이 가상머신을 AWS에서는 인스턴스(instance)라고 부르지요. (왜 이렇게 각자 부르는 이름이 다른지 원) 클라우드는 용어에 익숙해지시는게 중요합니다. 그래야 누군가는 instance, 누군가는 VM이라고 말해도 "그게 다 같은 가상머신을 가리키는 말이구나!" 하고 이해하면서 대화를 할 수 있기 때문이죠. 컴퓨터를 ..
-
AWS Athena 기초 (Athena SQL 작업)Cloud 기초/AWS 기초 2023. 9. 6. 03:56
(이 글은 AWS Glue 기초 (S3 Data Catalog 생성)(https://kh-archive.tistory.com/27)를 읽은 것을 전제로 작성하였습니다.) Glue편에 이어서 AWS Athena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AWS에서 Athena에 대한 설명을 한줄로 표한 문장을 보면 서버리스 대화형 분석 서비스 라고 되어있습니다. '서버리스'라는 것은 어딘가에 서버를 띄우고 인프라를 구축해서 사용하는 서비스가 아니라 그냥 마치 모든 것이 세팅되어 있고 우리는 단순히 쿼리를 날려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interactive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AWS Athena가 가진 특징을 하나씩 살펴볼까요? 1. Serverless 2. Pay-per-query..
-
AWS Glue 기초 (S3 Data Catalog 생성)Cloud 기초/AWS 기초 2023. 9. 6. 03:55
(현재 읽고 있는 글은 S3에 대한 기본 정보(https://kh-archive.tistory.com/26) 를 읽은 분들을 대상으로 쓰여졌습니다.) (S3 bucket에 아래 csv 파일이 저장되어있다고 가정합니다.) Glue는 AWS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ETL(Extract, Transform, and Load) 서비스입니다. 즉, 데이터의 추출, 변형, 불러오기 등을 도와주는 서비스라는 것이죠. 그 중 Glue가 제공하는 메인 기능 중에 Data Catalog 서비스에 대해서 설명하면 Storage의 Data Meta 정보를 정의하여 쿼리를 날릴 수 있는 형태로 바꿔주는 서비스입니다. Glue의 뜻만 보면 풀, 접착제 같은 의미입니다. 왜 그런 이름을 붙였을까요? 구체적으로 한번 볼까요? S3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