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AWS VPC 기초 II (AWS VPC와 서브넷 생성)

    Cloud 기초/AWS 기초 2023. 9. 16. 16:02

     

    (이 글은 https://kh-archive.tistory.com/41를 미리 읽었거나 네트워크에 대한 기초 지식을 전제로 설명합니다.)

     

    AWS VPC

     

    이제 실제 AWS VPC와 서브넷을 만들어보겠습니다.

    AWS에 로그인을 하고 검색창에 VPC라고 검색하여 들어가면 다음과 같이 VPC 메인 화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WS VPC Main

     

    VPC는 Region에 따라 독립된 VPC로 분류되기 때문에 우선 VPC를 생성할 리전을 선택해줍니다.

    리전 선택은 오른쪽 상단에 내 계정 이름 옆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노란색 버튼의 VPC 생성을 눌러서 VPC 생성화면으로 넘어가봅시다.

     

    그러면 이런 화면이 나오는데요.

     

    VPC Create

     

    여기서 생성할 리소스 선택을 VPC 등이 아니라 VPC만을 선택해줍니다.

    (VPC 등으로 선택하면 서브넷 등을 쉽게 생성할 수 있지만,

    우리는 따로 생성하면서 우리가 공부한 네트워크 지식을 확인해봅시다)

     

    이름은 cloudman-vpc-01로 정해주고 IPv4 CIDR 수동 입력을 선택한 다음,

    196.250.0.0/16 이렇게 CIDR을 정해주겠습니다.

    (그러면 이제 이 VPC에서 가용할 수 있는 IP주소의 갯수는 255*255=65025가 되겠죠?)

    나머지는 그냥 기본값으로 설정하고 밑으로 스크롤을 내려서 VPC 생성 버튼을 눌러서 VPC를 생성해봅시다.

     

    VPC Create

     

    그러면 다음과 같이 VPC가 잘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VPC Create Success

     

    하지만 보면 서브넷이 0개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해당 VPC에 서브넷을 3개 만들어서 사용해봅시다.

     

    VPC 메뉴

     

    왼쪽에 메뉴바를 보면 VPC 밑에 서브넷이라고 된 부분이 보이시죠?

    저걸 클릭해서 서브넷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 전에 VPC라고 된 부분을 클릭해서 다음과 같이 우리가 만든 VPC가 잘 있는지 확인해봅시다.

     

    VPC List

     

    우리가 만든 cloudman-vpc-01 이라는 이름의 VPC가 잘 만들어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만든 VPC의 ID는 vpc-0a9e***********a로 자동으로 배정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이제 우리가 만든 VPC에 서브넷을 만들어봅시다.

    왼쪽 사이드 메뉴에서 서브넷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오른쪽 상단에 서브넷 생성을 클릭하여 서브넷을 만들어봅시다.

     

    Subnet Create

     

    서브넷을 생성하는 화면은 상대적으로 간단한데요. 서브넷을 만들 대상이 되는 VPC부터 선택해줍니다.

    서브넷의 대상이 되는 VPC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이 서브넷의 주소 등을 입력하는 화면이 뜹니다.

     

    Subnet Create

     

    서브넷의 이름은 cloudman-subnet-01로 하고 가용 영역은 그대로 두고 (자동)

    IPv4 CIDR 블록에서 해당 서브넷이 사용할 IP의 범위를 정해줍니다.

    이미 VPC의 가용 IP 범위가 196.250.0.0 ~ 196.250.255.255이기 때문에

    서브넷의 가용 IP 범위는 조금 좁혀서 196.250.10.0/24로 정하겠습니다.

    그러면 해당 서브넷에 배정된 IP 주소의 갯수는 196.250.10.0 ~ 196.250.10.255까지 255이겠네요

     

    밑으로 스크롤을 조금 내리면 새 서브넷 추가라고 된 버튼이 있는데 클릭해서 서브넷을 계속해서 추가해줍니다.

    새로운 서브넷의 이름은 cloudman-subnet-02, CIDR 주소는 196.250.20.0/24로 정해봅시다.

     

    Subnet 2

     

     반복해서 cloudman-subnet-03까지 196.250.30.0/24로 만든 후에 서브넷 생성을 눌러서 서브넷을 생성해봅시다.

     

    subnet 3

     

    서브넷 생성 버튼을 눌러서 서브넷이 잘 생성되었으면 다음과 같이 만들어진 서브넷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ubnet List

     

    이렇게 서브넷까지 생성하는 것을 완료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VPC와 서브넷을 만든 것만으로 네트워킹이 가능해진 것은 아닙니다.

    Public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라우터나 인터넷 게이트웨이 설정을 해주어야 하고

    Private 통신을 위해서는 NLB나 NAT 게이트웨이 설정 등을 통해 네트워킹할 대상을 설정해야 합니다.

     

    일단은 VPC와 서브넷 생성까지 하고 나중에 AWS 심화에서 실제 통신을 위한 설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