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zure Cloud 소개
Cloud 기초/Azure 기초 2023. 9. 10. 21:58(AWS나 클라우드의 사전 지식이 있으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글입니다. AWS에 대한 정보는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Microsoft Azure Azure는 Microsoft에서 제공하는 Cloud 서비스입니다.
최초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했던 AWS에 밀려 시장을 선점하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기존 MS에서 제공하던 서비스들을 앞세워 2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저는 처음에 구글의 GCP가 2위가 아닌 것이 의외였습니다. 마소라니!!)MS는 자체 OS인 Window를 비롯해서 Powershell 등 자체적인 툴들을 많이 제공합니다.
그에따라 MS 세계관(?)에 맞춰 클라우드 서비스도 MS만의 독특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면 그 특징들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1. Hybrid Capability
2. Integration with Microsoft products
3. Enterprise Agreement Advantage
4. Azure DevOps
5. Azure Stack
6. Azure Active Directory
7. Powerful Machine Learning Capabilities
8. Excellent Security
9. Cost Management Tools우선, 살펴볼 키워드는 Hybrid Capability입니다.
Azure는 온프레미스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를 적절하게 융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물론 AWS도 온프레미스의 데이터를 migration한다든가 하여 클라우드의 관리 체계로 편입시키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Azure는 온프레미스 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기존의 데이터센터나 오프라인 서버를 유지하면서 그걸 클라우드로 관리하는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오히려 반대로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온프레미스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입니다.)
Integration with Microsoft products는 MS는 이미 많은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기 때문에
클라우드도 그런 다양한 서비스 중에 하나로 인식해서 제공합니다.
또한, 다른 서비스와의 결합을 통해 클라우드에서 기존 MS의 서비스를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Enterprise Agreement Advantage는 좀 더 기업의 입자에서 좋은 점이 될 수 있는데요.
이미 기업에서 MS의 서비스를 기업형으로 사용하고 있었다면
단지 그런 많은 서비스 중에 하나로 Azure를 추가하여
클라우드 운영 비용에서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합니다.
Azure DevOps는 MS의 다른 개발자 도구인 Git이나 Kanban board 등과 결합하여
높은 성능의 DevOps pipeline 구축을 도울 수 있다는 특징입니다.
Azure Stack은 온프레미스 환경과 결합한 하이브리드 앱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클라우드 가상컴퓨팅 서비스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런 특징을 통해서 Azure는 온프렘의 환경을 클라우드로 이식하려고 하기 보다는
온프레미스 환경을 해치지 않으면서 온프레미스의 운영에 클라우드를 녹여넣는다는 철학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Azure Active Directory는 MS에서 제공하는 인증 관리 시스템인데요.
AWS의 IAM과 좀 다른 점은 AWS IAM의 경우는 클라우드 한정 인증 및 액세스 관리 서비스였다면,
Azure AD는 클라우드인 Azure 뿐만 아니라 다른 MS의 서비스에서도 인증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owerful Machine Learning Capabilities는 머신러닝 관련하여 다양한 빌트인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대화형 AI인 ChatGPT나 이미지를 생성하는 Dall E 등 OpenAI의 서비스들도 Azure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합니다.
(처음에 나왔을 때는 갓피티였는데, 요즘에는 구글의 바드나 메타의 라마 등 경쟁자들이 많아졌죠.)
Excellent Security는 다른 클라우드와 마찬가지로 Azure 또한 클라우드 관련 보안에 많은 투자를 한다는 특징인데요.
직접 리소스를 만들면서 겪었던 좀 특이한 부분은 AWS에서 제공하는 Security Group를 Azure에서도 제공을 하는데,
Security Group 외에도 Firewall도 따로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tool로서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네 우리가 윈도우에서 쓰는 그 방화벽이 맞습니다)
Firewall와 Seccuirty Group와 다른 점은
네트워킹 보안을 패킷 단위로 관리한다는 점에서
Secuirty Group보다 좀 더 향상된 네트워크 보안을 제공한다는 특징입니다.
Cost Management Tools은 빌트인된 서비스를 통해 최적 운영을 제시하는 특징인데요.
사실 AWS도 비용 절감과 관련한 많은 조언을 제공하긴 합니다.
다만, AWS에는 없는 Subscription이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특정 리소스를 구독 단위로 Grouping하여
리소스를 그룹별로 비용을 계산하거나 처리하도록 하는 서비스입니다.
그 밖에도 Tenant나 Service Principal 등 AWS와 다른 Azure만의 생태계를 구축해서
다른 관점으로 공부해나가시면 AWS와는 다른 MS만의 세계관(?)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Azure의 전반적인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는 하나씩 리소스를 만들어보면서 Azure만의 생태계(?)를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