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WS (아마존 클라우드 서비스) 소개
Cloud 기초/AWS 기초 2023. 9. 6. 02:04우선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서 아주아주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포켓몬 태초마을 여러분 혹시 이렇게 생긴 포켓몬 게임을 해보신 적이 있나요? 저도 어렸을 때 꽤 해봤는데요
(그 당시에는 어릴 때라 너무 어려워서 결국 못 깼었습니다ㅠ)여기 구석에 보면 주인공이 사용하는 컴퓨터가 있죠.
너무 오래 전이라 잘 기억은 나지 않지만 컴퓨터에 그동안 잡은 포켓몬 정보를 저장하는 그런 기능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저 컴퓨터는 게임 안에 존재하는 가짜 컴퓨터죠.
그런데 우리는 저 컴퓨터로 포켓몬 정보도 저장하고 오박사(?)님에게 온 이메일도 읽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 게임에서는 저 컴퓨터에 어떤 기능이 있는지는 잘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ㅠ)그런데 만약에 저기 포켓몬 게임에 나오는 가짜 컴퓨터에 여러가지 기능을 넣을 수 있다면 어떨까요?
그러면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진짜 컴퓨터보다 훨씬 성능을 고성능으로 만들고 인터넷도 엄청 빠르게 설정한 다음에
가짜 컴퓨터로 게임도 하고 유튜브도 보고 친구들과 카톡도 하면 되지 않을까요?
그리고 이런 가짜 컴퓨터를 100개 1000개씩 만들어서 쓰면 정말 좋지 않을까요?
바로 그런 가짜 컴퓨터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바로 클라우드 서비스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전세계 방방곡곡 어딘가에는 진짜 서버가 있긴 합니다만)
오 그러면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가짜 컴퓨터로 진짜 게임도 하고 유튜브도 보면 되겠네요?
아 뭐 가능은 합니다만 피씨방에 가서 게임을 해도 돈을 내듯이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들도 비용을 지불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매우 비쌉니다.)에이 그러면 누가 써요 그냥 컴퓨터 쓰면 되지
놀랍게도 이미 여러분들은 클라우드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제... 제가요?)이미 전세계의 많은 유명한 게임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클라우드를 사용하여
여러분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전세계의 수많은 기업들과 개인들은 왜 비싼 돈을 주고 클라우드를 사용할까요?
높은 확장성, 효율적인 경제성, 그리고 전세계 어디에서든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까지!
우선 클라우드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높은 확장성입니다.
쉽게 말해 자유자재로 유연하게 서버를 늘렸다 줄였다 할 수 있고 환경도 내 맘대로 바꿀 수가 있습니다.
일반적인 서버실의 모습 예전에는 이런 식으로 거의 모든 기업들에 서버실(혹은 전산실)이 있어서 이미 일정 수준의 서버를 구축하고 사용을 했는데요.
이런 서버실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최소 억단위 돈이 들어야 했습니다.
(돈없는 회사는 서버실 만들다가 파산할듯 ㅠ)그리고 서버실을 담당하는 서버 관리자도 필요했죠.
과학적으로(?) 서버를 관리 중인 흔한 서버 관리자 하지만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얼마든지 가상 환경에 서비스 크기에 맞춘 서버를 금방 구축할 수 있었고
또 필요에 따라서 크기를 늘리거나 줄이거나 심지어 없앨 수도 있게 되었죠!
두 번째는 장점은 효율적인 경제성입니다.
(아니 아까는 비싸다면서요???)클라우드 서비스를 쓰면 일단 자기가 원하는만큼 서버를 구축할 수 있고
구축된 환경의 종류와 크기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됩니다.
롤 서버가 또??!!! 만약에 동시접속자가 2억명인 서비스가 있다고 생각해봅시다.
클라우드가 아닌 전통적인 서버 운영의 방식이라면 일단 2억명의 유저를 감당할 수 있는 서버실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언제 3억명이 될지도 모르니 넉넉하게 만들어야죠. 이런 경우 초기 서버 구축 비용이 어마어마하게 들겁니다.
그런데 기업이 제공하던 서비스의 인기가 점점 시들해져서 동시접속 유저가 3천명으로 줄었으면
3억명을 감당할 수 있게 만들어 놓았던 서버실은 애물단지가 되어버립니다.
(그걸로 코인을 채굴하면 괜찮을수도?)하지만 클라우드로 서버를 구축했다면 유저의 수에 따라
서버의 크기를 줄여서 나가는 비용을 확 줄일 수 있고
초기 비용이나 시간도 전통적인 서버 구축 비용보다 훨씬 경제적입니다.
마지막 장점은 전세계에서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입니다.
한번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를 생각해봅시다.
이번에 결혼을 하게 된 회사의 유일한 서버관리자 김아마존 군.
항상 신혼여행에 대한 로망이 있었기 때문에 예비 신부와 의논해서
잘 알려지지 않은 아프리카에 있는 모리셔스라는 섬으로 신혼여행을 떠나기로 합니다.
아프리카는 한번에 갈 수 없어서 튀르키예를 경유해서 가게 되었는데요.
한참 비행 후에 도착한 튀르키예에서 갑자기 로밍한 핸드폰으로 사장님에게 문자가 옵니다.
"현재 서버 터져서 서비스 중단. 긴급 복귀 바랍니다."와 개발자로서 생각만 해도 어질어질한 상황이네요.
(기도를 열심히 안 했나보군요)김아마존 군이 전통적인 서버실의 서버관리자였다면 눈물의 복귀쇼(?)를 했어야 했겠지만,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서버를 구축했다면
그냥 인터넷이 되는 곳에 가서 개인 노트북으로 클라우드에 접속 후 서버를 복구시키면 끝입니다.
그밖에도 클라우드는 자체적인 보안서비스나 Private network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매우 높은 수준의 서비스의 안정성도 보장하는 등의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최초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한 AWS 는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서비스들을 제공합니다.
1. 데이터베이스 및 저장공간 서비스 (S3, RDS, ...)
2. 가상 네트워크 서비스 (VPC, Private Link, ...)
3. 가상 컴퓨팅 서비스 (EC2, EKS, ...)앞으로는 이러한 AWS의 주요 서비스들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떤 식으로 서비스들을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Cloud 기초 > AWS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RDS 기초 (RDS MariaDB 생성) (0) 2023.09.10 AWS EC2 기초 (생성 및 접속까지) (0) 2023.09.06 AWS Athena 기초 (Athena SQL 작업) (0) 2023.09.06 AWS Glue 기초 (S3 Data Catalog 생성) (0) 2023.09.06 AWS S3 기초 (버킷 생성 및 데이터 업로드) (0) 2023.09.06